노란 네모에서 보시는 것이 로그입니다. 내가 무슨 코드를 쳤고, 어떤 오류가 났으며 (빨간색), 어떤 과정을 통해서 현재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로그를 전부 저장해 놓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작업 시작전에 로그 시작버튼을 누르세요.
단순 연습이라면 로그 저장이 딱히 필요 없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특히나 연구를 진행할 때, 코드를 언제 다시 돌려도 같은 결과가 나오게 하는 “Reproducibility”가 매우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로그 파일 만들기
[File]-[Log]-[Begin]- 원하는 파일 이름 작성 - 저장
또는 다음 아이콘 클릭
저장하고 나면 smcl 형식의 파일이 저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는 아래와 같이 코드를 작성하시면 됩니다.
log using "V:\test.smcl"
저장된 로그 파일 불러오기
앞에서 저장한 로그 파일을 확인하고 싶을 때는 File-Open 후 로그 파일 클릭.
이렇게 하시면 코드와 함께 output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코드 관리
Output 안봐도 되고, 나는 코드만 저장하고 싶다. 하실 때는 다음의 코드를 작성하세요.
doedit
그곳에 코드를 작성하고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면 do 파일이 생성됩니다.
여기에 본인의 코드를 작성하여 관리하면 됩니다.
'STATA' 카테고리의 다른 글
05. [STATA] 두 개 테이블 합치기 (0) | 2021.08.03 |
---|---|
04. [STATA] 변수 생성, 수정, missing value, recoding (0) | 2021.08.02 |
03. [STATA] 변수 확인하기 (0) | 2021.08.01 |
02. [STATA] 데이터 불러오기 (0) | 2021.07.31 |
00. STATA 소개 (0) | 2021.07.28 |
댓글